상례란 사람이 운명하면서부터 탈상 때까지의 의식을 말한다.
상례란 인륜대사인 만큼 기본적인 예법과 절차는 지켜야 하는 것이기에
예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나 알기 쉽도록 여기에 적어본다.
누구나 조상(부모)이 있기 때문에 예전에는 이러한 절차를 무조건 거치지 않으면 안 되었지만
예가 복잡하여 요즘은 병원, 전문가가 대행하기 때문에 모른다고 해도 흠이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식적으로 알고는 있어야한다.
지금도 우리 마을이나 우리 군에서는 일부이지만 집에서 상례(수시에서 시작하여 상여로 출상하고 치장하기까지)를 하고 있다.
1.수시(收屍)
수시 절차는 운명하신 고인의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내리고,
몸을 반듯하게 한 다음 손과 발을 곧게 뻗도록 주무른 뒤 다리를 가지런하게 모아 발끝이 위로 가게하고,
얼굴과 손발을 깨끗이 씻어드려, 잠드신 분의 모습이 가족들에게 깨끗한 인상으로 남을 수 있게 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팔과 다리, 손과 발을 오래도록 주물러 반듯이 펴 드려야 한다.
2.고복(皐復)
招魂(초혼)이라고도 한다.
혼을 불러 다시 돌아오게 한다는 뜻으로 두루마기나 흰 속옷을 처마 밑으로 가지고 가서 지붕을 향하여
왼손으로 옷의 깃을 잡고 오른손으로 옷의 중간을 잡고 북쪽을 향해 옷을 휘두르면서 크고 길게
고인의 주소, 본관, 성명 또는 고(皐)학생 ○ ○공(公)
복(復)! 복(復)! 복(復)! 세 번을 부른다.
(옷을 지붕위에 던져 올린다.)
밥 세 그릇(사자밥)과 나물을 작은 상이나 채반에 차려 대문 밖이나 뜰에 내 놓는다.
(옛날에는 짚신 3개와 여비하라고 동전도 놓았다.)
또한 물 한 대접과 고인이 생전에 신으시던 신을 놓는다.
저승사자를 대접함으로써 망인을 편하게 모셔 달라는 뜻으로 상을 차려 놓는다.
다음 절차는 옷 중에서 흰색이나 엷은 색의 깨끗한 옷을 골라 고인에게 가라 입히고,
쌀 세 숟갈을 입속에 세 번 떠서 넣는다.
요를 깔고 시신을 칠성판(시신을 뉘일 만한 나무판을 말한다) 위에 뉘이고 몸을 반듯이 하여 손을 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여자는 오른손이 위로가게 천이나 헝겊으로 묶고 발도 가지런히 무릎과 함께 묶는다.
칠성판 밑에 짚이나 받침목을 놓고 고인다.
하얀 천이나 홑이불을 발끝에서부터 머리까지 덮은 뒤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린 다음 빈소를 마련한다.
시신을 모신 방은 불기가 없이 차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은 수시(收屍)와 고복이 끝나면 시신이 보이지 않게 병풍을 치고 그 앞에 과일과 포로 간단히 상을 차려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밝힌 뒤 향을 피운다.
염이 끝나 성복하고 상주가 제청에 들기 전 까지는 상복을 입을 사람 외에는 상(고인)에다 절을 하지 않는 법이다.
3. 염(殮)과 入棺(입관)
습(襲) 이란 시신을 깨끗이 닦는 절차고, 소염(小殮)은 수의를 입히는 것을, 대염(大殮)은 입관하는 것을 말한다.
지금은 염에서 입관까지의 의식을 한꺼번에 한다.
염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그 절차가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여 쉽게 설명 할 수도, 쉽게 배울 수도 없어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맡길 수밖에 없다.
4. 명정(銘旌)과 공포(功布)
명정쓰는 법
명정의 글씨는 일반인들은 보통 8자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주위의 글씨 잘 쓰는 사람이 쓴다.
이름이 이수일의 경우 남자는 ‘全州李公洙一 之柩’ 이렇게 본관과 성명을 쓰고,
여자는 本實과 姓만 넣어 ‘孺人全州李氏 之柩’ 라고 쓴다.
(직위가 높거나 예술인들은 본관 앞에 그 직위를 쓴다.)
‘學生 全州李公 之柩’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성명이 들어가야 한다.
요즘 병원에서 이런식으로 잘못 쓰는데가 많이 있으니 직접 쓸 사람이 없으면
명정을 쓰기전에 미리 이렇게 써달라고 말해 놓아야 한다.
명정은 출상(出喪)전에는 영좌(殯所:빈소)의 동편에 올려놓고, 상여로 출상할 시에는 대에 달아 맨 앞에서 가며,
하관 때에는 관을 덮는다.
공포(功布)는 명정 뒤에 따르며 상여의 길잡이로 길의 높고 낮음이나 길이 꺾일 때 흔들어 알리며
하관 할 때에는 관을 닦는 데에 쓰인다.
<명정은 옛날에는 계란과 밀가루로 쓰기도 했는데 지금은 재료(필기구)일체를 농협이나 병원에서 구한다.>
5. 성복(成服)과 조석전(朝夕奠)
성복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이다.
입관이 끝나면 영좌를 마련한 뒤 상주들은 성복을 한다.
(요즘은 전통상복인 굴건제복을 하지 않고 검은색 양장을 많이 한다.)
성복을 한 후에는 제청(영좌:靈座)을 마련하여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밝히고 향을 피우며 제상을 진설(陳設)하고 상제들은 모두 곡하고 재배 한다.
축문은 읽지 않으며 절은 한번으로 끝난다.
입관 뒤에는 아침·저녁 끼니에 상식(上食)을 올린다.
메의 뚜껑을 열고 수저를 바르게 한 다음 시간이 되면 국 대신 숭늉을 올리고 조금 있다가 상을 치운다.
<발인하기 전날 밤 석전에는 상식(上食)을 올릴 때 분향재배 하고 축문도 읽었으나 지금은 생략한다.>
6. 치장(治葬)
발인하는 날이 밝으면 묘 자리에 가서 산신제를 지내는데 이때 상주(喪主)는 가지 않는다.
묘소의 왼편에 제상을 차려놓고 봉사자(고사자)가 북향하여 축문을 읽은 뒤 재배하고 술을 부어 놓고 절한다.
그리고 주위에 선산이 있으면 먼저 선영에게 고사 지내되 제일 위 어른이나 또는 묘 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분에게 지낸다.
축문은 읽지 않아도 산신제는 필히 지내야한다.
◆ 산신축(山神祝: 개토고사축)
維
①유세차 년 월 삭 일 유학 감소고우
歲次 ○○年 ○○月 ○○朔 ○○日○○ 留學○○○ 敢昭告于
토 지 지 신 ②금 위 顯考學生府君 영 건 택 조 (폄자유택)
土地之神 今爲 ○○ ○○○○ 營建宅兆(窆玆幽宅)
신 기 보 우 비 무 후 간 근 이 청 작 포 과 지 천 우 신 상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淸酌脯果 祗薦于伸 尙
향
饗
◎치장 전에 고하는 산신제는 營建宅兆( 영건택조)를 쓰고,
치장후 올리는 산신제는 窆玆幽宅(폄자유택) 이나 窟玆幽宅( 굴자유택)을 쓰는데 이것을 후토지신 축문이라 한다.
✪시작부분(유세차 ○○년➔감소고우 까지) 쓰는 법과 해설은 <2>페이지 축문 쓰는 법을 참조할 것.
留學이란 일반인을 이르는 말로 상주가 가지 않기 때문에, 제를 올리는 사람의 성명을 유학 홍길동 이런 식으로 쓴다.
② 아버지묘일 때는今爲顯考學生府君, 어머니묘일 때는 今爲顯妣孺人○○○氏,
할아버지묘일 때는 今爲顯祖考學生府君, 할머니묘일 때는 今爲顯祖妣孺人○○○氏이렇게 쓴다.
축문해설
○○년○○월 ○○일 ○○○(성명)이 감히 토지신께 고하나이다. 금일 ○○○○○○의 유택을 지으려 하오니
신께서 그를 보호하고 도우셔서 그로 하여금 후일에 어려움이 없도록 하여 주옵소서.
삼가 맑은 술과 포와 과일로 정성을 다하여 드리오니 신께서는 흠향하옵소서.
◈同岡先塋祝(동강선영축)
선산에 모실 때는 선영에 간단히 주과를 올리고 축문을 읽는다.
※새로 모실 묘 주위에 조상의 묘가 있거나 먼저가신 부모님 옆에 부모님 한 분이 다시 가실 경우에
축문은 생략하더라도 간단하게 차려놓고 절하며 “오늘 이곳에 어머님이 오시게 되어 알립니다.”하고
말로라도 고해야한다.
維
①유 세 차 감 소 고 우
歲次 ○○年○○月○○朔○○日○○孤哀子○○ 敢昭告于
② 顯考學生府君지묘 ③금위 顯妣孺人○○○氏
顯 ○ ○○○○之墓 今爲 ○○ ○○○○
④영 건 택 조 근 이 주 과 용 신 건 고 근 고
營建宅兆 謹以酒果 用伸虔告 謹告
✪시작부분(유세차 ○○년➔감소고우 까지) 쓰는 법과 해설은 <2>페이지 축문 쓰는 법을 참고할 것.
(고애자는 부모님이 다 돌아 가셨을 때 장손이 아닌 경우 호칭이다. <2>의⑦참고)
②顯考學生府君은 선영 즉 선묘(舊墓)이고 ③금위顯妣孺人○○○氏은 新墓를 모실 분이다.
先葬에 합장할 경우 營建宅兆于合右라 쓴다.
축문해설➤ 모년 기월 기일 모관 모가 감히 공경 하옵는 ○○ 의 묘에 고하나이다.
오늘○○의 유택(묘)을 지으려 하옵니다. 이에 삼가 주과를 올리고 고하나이다.
7. 천구(遷柩) 또는 動棺祭 ( 동관제 )
동관제(관을 움직인다는 뜻)는 천구(遷柩:관을 옮기는 뜻)와 같은 뜻이다.
고인이 집을 떠나는 마지막 절차(마지막 제사)이다.
고인을 모신 방문을 활짝 열고(병풍을 치우고) 제상 앞에 (상복 입은 사람은 모두 참가한 가운데)
잔을 올리고 축문을 읽고나면 곡을 하며 재배한다.
◈ 축문은 다음과 같다.
今 遷柩 就轝 敢告 금 천구 취여 감고
(이제 관을 옮겨야 하겠기에 감히 고하나이다.)
식이 끝나면 상여가 있는 곳으로 운구하고, 상여가 차려지면 발인제를 행한다.
8. 발인제(發靷祭)
발인제는 영구가 상가 또는 장례식장을 떠나기 직전에 고인과의 마지막 작별을 하는 의식으로
상가의 집 근처 넓은 터에서 한다.
명정을 세우고 영정을 앞에 놓고 제상을 갖추어(촛대, 향로) 상주가 분향하고 술잔을 올리고
견전축을 읽은 다음에 곡하며 모두 절한다.
조객분향 때는 상주는 경건한 자세로 고개 숙여 곡(哭)을 해야 한다.
견전(발인)축문은 다음과 같다.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靈輀旣駕 往卽幽宅 載陣遣禮 永訣終天
축문해설➤ 영께서는 이미 상여에 오르시어 이제 가시면 유택이 옵니다.
보내드리는 예를 다 하였으니 이제 영원히 이 세상을 사별 하였아옵니다.
9. 하관(下棺)과 성분(成墳)
차로 영구가 도착하면 먼저 명정을 풀어서 관 위에 덮은 다음 상제들이 마주서서 재배 한다.
(상여로 운구 하였을 때는 보통 생략한다.)
하관할 때 시간을 맞추어 결관을 풀고 영구가 수평이 되게 하여 좌향(坐向)을 맞춘 다음 반듯
하게 내려놓고 석관일 때는 뚜껑을 다 닫기 전에 술 한 잔을 올리고 상주는 재배하고 곡을 한다.
명정을 관 위에 덮고 성분을 한다.
▣위령제(慰靈祭)
성분을 마쳤으므로 성분제도 같은 말이다.
성분이 끝나면 묘소 앞에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비는 제사를 지낸다.
메, 국, 반찬, 과일, 그리고 술을 올리며 축문을 읽고 절하고 곡한다.
(제사와 동일하다)
◈ 제주제축(題主祭祝) ▷ 성분축 또는 평토축이라고도 한다.
維
①유 세차 감소고우
歲次 年 月 朔 日 子( )敢昭告于
② 현 형 귀 둔 석 신 반 실 당 신 위 기 성
顯( ) 形歸窀穸 神返室堂 神位旣成
복 유 존 영 사 구 종 신 시 빙 시 의
伏惟尊影 舍舊從新 恃憑是依
✪시작부분 ①과 ②부분 쓰는 법과 해설은 <2>페이지 축문 쓰는 법을 참고 할 것.
<끝 부분> 사구종신 시빙시의는 혼상유존잉구시의(魂箱猶存仍舊是依)로도 쓴다.
축문해설➤○○년○월○일 자식○○은 감히 고하나이다. 형체는 땅으로 돌아가셨어도
신위는 모시겠으니 집으로 돌아가십시오. 엎드려 고하니 영혼께서는 옛집은
버리시고 새로운 집인 여기에 기대시고 의지하시옵소서.
10. 탈상(脫喪)
상례의 마지막 절차로 상복(服)을 벗는 의식인데, 탈상제 지내는 방법은 기제(忌祭)와 동일하다.
◈ 탈상축
維
①유 세차 감소고우
歲次 年 月 朔 日 ( )子( ) 敢昭告于
②현 일 월 불 거 ③엄 급 ○○ 숙 흥 야 처
顯( ) 日月不居 奄及( ) 夙興夜處
애 모 불 녕 삼 년 봉 상 어 례 지 당 사 세 불 체
哀慕不寧 三年奉祥 於禮至當 事勢不逮
④혼 귀 분 묘 근 이 청 작 서 수 애 천 상사 상
魂歸墳墓 謹以淸酌 庶羞哀薦 祥事 尙
향
饗
✪시작부분에서 ➔감소고우 까지는 <2>페이지 축문 쓰는 법을 참고 할 것.
②현고학생부군은 아버지, 어머니는 현비 유인○○○씨, 할머니는顯祖妣孺人○○○氏---
③ 엄급○○은 백일 탈상이면 엄급百祥, 5일 탈상이면 엄급오일,
별세 하신 날부터 계산하여 날자를 써 넣는다.
④ 매장 할 경우에 혼귀분묘, 화장하였을 경우는 魂歸仙境(혼귀선경)이라 쓴다.
축문해설 ➤ ○○년○월○일 자식○○은 감히 고하나이다.
○○께서 돌아가신지 ○일이 되었습니다.
밤낮으로 슬프고 애모하는 마음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3 년을 섬겨야 하겠지만 그러지 못하고 여기 정성으로 술과 음식을 올리니 삼가 흠향하소서.
상례의 모든 절차는 다 끝났다.
예전에는 삼우제, 소상, 대상, 담제 등을 지냈는데, 현대는 모두 생략하고 탈상제를 올렸으니 이제 기일에 제사만 지내면 된다.
그런데 일부의 학식있는 어르신들 말씀이 비록 순서는 바꿨지만 담제는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禫祭(담제)의 의미는 “모든 절차가 끝났으니 영혼께서는 기일에 집에다 상을 차릴 것이니 오시라”는
즉, 제사에 신을 초청하는 행사이니 해야 된다는 것이다.
干支(일진)가 丁日(정일)이나 亥日(해일) 즉 丁자나 亥해가 들어가는 날로 날을 받아 (백일을 전후해서 많이 한다)
주과로 간단히 상을 차려놓고 (돌아가신지 일년이 안돼 아직 신위에 오르지 못했으므로 상을 안방에 차리면 안된다.
거실이나 작은방에 차린다)
술잔을 올리면서 ‘기일에 오십시요’라고 고하면 될 것이다.
요즘 백일제를 많이 지내는데 백일 때에 묘소에 자식들이 모두 모여서 간단히 상을 차려놓고 제사때에 뵙겠습니다하고
고하는 것을 주위에서 보았는데 큰 돈도 들지않고 참으로 보기에 좋아보였다.
◇참고로 형식을 갖추어 제를 올릴 경우 축문은 탈상축과 같으나
‘엄급○상’을 ‘奄及禫祭’로 끝 부분 ‘상사상 향’을 ‘禫事尙 饗’(담사상 향)으로 고쳐 쓰면 된다.
◐상례란 아무리 정성으로 치러도 모자라고 서운한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주위의 말도 많은 것이 상례인데, 생각해보라! 부모님 보내고 가슴 미어지도록 슬프지 않은 자식 어디 있겠는가?
무례하니 모르니 하지 말고 상주에게 우리 지방 풍습은 이러하며, 내 생각은 이러한데, 이렇게 하면 어떻겠는가? 하고
우리 모두 나서서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성분축(평토축)
維
유 세 차 감 소 고 우
歲次 年 月 朔 日 子( )敢昭告于
현 형 귀 둔 석 신 반 실 당 신 위 기 성
顯( )形歸窀穸 神返室堂 神位旣成
복 유 존 영 사 구 종 신 시 빙 시 의
伏惟尊影 舍舊從新 恃憑是依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탈상축
維
유 세 차 감 소 고 우
歲次 年 月 朔 日 子( )敢昭告于
현 일 월 불 거 엄 급 숙 흥 야 처
顯( )日月不居 奄及( )夙興夜處
애 모 불 녕 삼 년 봉 상 어 례 지 당 사 세 불 체
哀慕不寧 三年奉祥 於禮至當 事勢不逮
혼 귀 근 이 청 작 서 수 애 천 상 사 상
魂歸( )謹以淸酌 庶羞哀薦 祥事 尙
향
饗
---------------------------------------------------------------------------------------------
엄급○○은, 백일 탈상이면 엄급百祥, 5일 탈상이면 엄급오일祥 별세 하신 날부터 계산하여 써 넣는다.
매장의 경우는 魂歸墳墓(혼귀분묘) 화장하였을 경우는 魂歸仙境(혼귀선경)이라 쓴다.